자산 형성의 여정

연금저축펀드 가입시 궁금했던 점 총정리

사드래 2021. 12. 18. 10:11

 

연금저축펀드 가입시 궁금했던 점 총정리

 

 

연금저축펀드가 어떤 상품인지, 왜 필요한지 알고 가입을 결정했다 해도, 가입하면서 궁금한 점이 계속 생기더라구요.

아마 연금저축펀드 가입을 고려하고 계신 여러분도 비슷하시리라 생각합니다.

다행히도 앞서가신 연금저축펀드 선배님들의 블로그나 유튜브를 통해 제가 가진 궁금증들을 해결할 수 있었는데요, 찾아보고 알아보느라 꽤 시간을 들였답니다.

 

그래서 이번 포스팅에서는 제가 연금저축펀드 가입시 궁금했던 점들과 그 해답을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연금저축펀드 가입시 궁금했던 점 총정리라고 해야겠네요.

 

그럼 시작해볼까요~ 출바알~~

 

 

 

Q1. 연금수령이 개시되는 55세까지 계속 납입해야 하나요?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아닙니다.

5년 동안만 연금저축펀드계좌를 유지하시면 됩니다.

 

평생직장이란 말은 옛말이 되고 정년이 보장되지 않는 시대에, 55세까지 계속 납입해야 한다고 하면 부담이 될 수 있겠죠?

직장인들의 평균 퇴직시기가 49세라고 하는데요, 40~50대 직장인들 뿐 아니라 20~30대 직장인들도 고용불안에 시달리는 것은 마찬가지인 게 현실입니다.

또한 우리가 예측할 수 없고 통제할 수 없는 이슈로 경제적인 타격을 받기도 합니다.

한 예로, 코로나 같은 감염병이 이렇게 장기적으로 경제에 영향을 미칠지 아무도 예상하지 못했을 것이구요, 앞으로도 이러한 변수는 또 있을 수 있겠지요.

 

 

이러한 미래의 불확실성이 우리의 삶에 어떠한 영향을 줄 지 한 치 앞도 알 수 없는 상황에서 55세까지 계속 납입이 아닌 5년만 유지라는 것은 정말 다행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연금저축 상품의 특성상, 중도해지나 일부 인출시에는 손해가 큰데요, 5년이라면 각자의 재정계획 안에서 적절하게 납입해서 중도해지하지 않을 수 있으니까요. (단, 연금저축펀드에 납입하는 금액은 인출할 수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기본적으로 55세까지 묶어둔다고 생각하셔야 됩니다.)

 

연금저축펀드 계좌를 만드실 때, 계약기간을 선택하게 되어있는데요, 기본인 5년으로 선택하시고 5년 만기가 되어도 계속해서 추가납입하거나 운용할 수 있습니다.

 

저의 경우는 연금저축펀드는 연말정산 등 절세혜택도 있지만 기본적으로 노후준비를 위한 것이고 장기적인 ETF투자를 위한 것이기도 하니 만기가 되어도 계속 추가납입하고 ETF를 매수해서 연금액을 늘리려고 합니다.

 

출처 : 아이엠갱스터

 

 

Q2. 연금저축펀드에 매달 정해진 금액을 납입해야 하나요?

 

1번 질문과 연결되는 궁금증인데요,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아닙니다.

1번에서 연금저축펀드는 5년 동안만 계좌를 유지하면 된다고 말씀드렸는데요,

5년 동안 매달 정해진 금액을 납입하는 것이 아니라, 자유납입니다.

자유적금처럼 내가 원하는 금액을 수시로 넣을 수 있고, 1년에 1회 한꺼번에 입금을 해도 상관 없습니다. (그래도 계좌유지는 해야 하니 1년에 한 번은 납입해야겠죠?^^)

최소금액도 정해져 있지 않습니다. 1~2만원의 소소한 돈도 넣으실 수 있어요.

 

이렇게 자유롭게 납부할 수 있다는 것이 연금저축펀드의 큰 장점 중 하나인 것 같아요.

그래서 프리랜서나 자영업자 분들처럼 수입이 일정하지 않은 분들도 얼마든지 가입하셔서 손해보지 않고 유지하실 수 있으실 것 같아요. 재정상황에 따라 자금이 넉넉할 때 납입하면 되니까요.

반면 연금저축보험의 경우에는 2회 미납하면 자동으로 보험의 효력이 상실되는 것으로 알고 있어요.

 

제 경우에는 12월에 가입해서 연말정산 시즌이 곧 다가오니 연말정산 혜택도 누리고자 올해가 가기 전에 여유금액을 한꺼번에 납입하려고 합니다.

 

 

Q3. 연말정산시 세액공제 금액 기준은 어떻게 되나요?

 

해당년도 1월~12월까지 납입액 기준입니다.

1년동안 총 300만원을 납입하고 잘 운용해서 100만원의 수익이 발생했다면(우리 모두가 원하는 그림이죠?ㅎㅎ), 300만원+100만원인 400만원에 대해 세액공제를 받는 것이라고 생각하실 수가 있는데요, 그것이 아닙니다.

납입액인 300만원을 기준으로 세액공제를 해줍니다.

 

만약 올해 처음으로 연금저축펀드 계좌를 개설해 계좌에 납입만 하고 ETF를 매수하는 등의 운용을 하지 않고 그대로 두었다고 해도 일단 납입금액 기준으로 세액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저는 이 부분이 굉장히 궁금했어요. 납입금을 어떻게 운용할지 투자에 대한 공부가 더 필요하고 구체적인 투자계획을 아직 제대로 세우지 못했는데 납입만 했을 때 세액공제 혜택이 없다면 굳이 서둘러 연말 전에 납입할 이유가 없으니까요.

그런데 납입만 해도 연말정산시 혜택을 받을 수 있으니, 아직 운용에 대한 구체적인 계획이 없다고 해도 여유금액은 납입해두는 것이 유리합니다.

 

이전 글에서 안내해드렸듯이 1억 2천만원 이하 급여소득자는 400만원(1억 2천만원 초과는 300만원)까지 세액공제가 되므로, 여유가 있다면 이 금액을 채우는 게 좋겠지요.

연금저축펀드의 세액공제한도 (출처 : 광화문금융러 님 유튜브)

 

 

Q4. 연금저축펀드에서 매수한 ETF를 매도해도 되나요?

 

제 경우에는 이 부분이 상당히 궁금했는데요, 

대부분 연금저축펀드를 설명해주시는 혜자로운 금융/경제전문 블로거 및 유튜버 분들이 연금저축펀드의 장점으로 ETF매수에 대해 이야기하고 장기적 투자로 좋은 ETF를 모아갈 것을 권하는데요, 그래서 그런지 매수 이야기는 많은데 매도에 대한 부분은 언급이 별로 없더라구요.

그래서 연금저축펀드에서는 만기 시점까지 계속 ETF를 매수해서 보유할 수만 있고, 매도는 할 수 없는 것인지 궁금했어요. 그래서 잘못 산 ETF나 혹은 수익을 실현하고 싶은 ETF를 팔지 못하고 계속 묵혀만 둬야 하는 건지 말이에요.

 

결론은 연금저축펀드의 납입금으로 매수한 ETF도 매도할 수 있습니다.

즉, 연금저축펀드에서 ETF 매도, 매수 모두 가능합니다.

연금저축펀드에서 인출만 하지 않으시면 됩니다. 1번 질문의 해답에서 말씀드렸듯이 중도해지하거나 일부 인출하시면 연말정산시 받은 혜택(급여 구간 상관없이 16.5%이므로 5,500만원 이상 급여소득자는 오히려 혜택금액보다 더 많은 금액)을 토해내야 하거든요.

 

 

 

오늘은 제가 연금저축펀드에 가입하면서 궁금했던 점과 그 해답을 총정리해봤는데요,

같은 궁금증을 가지고 계신 분들께 도움이 되고 시간을 절약해드릴 수 있으면 좋겠네요.

 

이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을 꾸욱 눌러주세요~!

 

 

 

이전 글 금저축펀드에 가입해야 하는 이유 3가지는 아래 링크에서 보실 수 있으니 참고하세요.

 

2021.12.15 - [자산 형성의 여정] - 연금저축펀드에 가입해야 하는 이유 3가지

 

연금저축펀드에 가입해야 하는 이유 3가지

연금저축펀드에 가입해야 하는 이유 3가지 연말정산철이 다가오면서 은행이나 증권사들에서 연금저축이나 IRP 가입에 대한 홍보 메시지를 받아보신 적이 있으실텐데요, 연금저축은 은행에서

keeptemp.tistory.com